728x90
반응형
공부팁 : 경제 / 도구 / 주거 / 사회 등을 비교하기
<구석기>
- 70만년 전~ 1만 년전
- 경제 : 수렵 채집 -> 이동 경제, 불 사용
- 도구 : 뗀석기 (사냥용 : 주먹도끼, 찍개, 팔매돌 -> 후기 : 슴베찌르개 / 조리용 : 긁개, 밀개)
- 주거 : 동굴, 막집
- 석기 다듬는 기술 : 전기 = 주먹도끼 / 후기 = 슴베찌르개
- 유적지 : 단양도담리금굴유적지 (한반도최고) / 공주석장리 (남한최초) / 경기연천전곡리 (아슐리안형주먹도끼) / 덕천승리산동굴 (최초인골) / 웅기굴포리 (북한최초) / 종성동관진유적지 (한반도최초출토) / 충북청원노현리 (흥수아이)
<중석기>
- 온난화 -> 잔석기, 슴베찌르개, 이음도구 (톱, 활, 창, 작살 등)
<신석기>
- B.C. 8000년~
- 경제 : 농경시작(목축시작) = 조 피 수수 -> 정착생활 (강가, 바닷가) 그리고 여전히 수렵 채집 중요!
- 농경과 관련된 원시신앙 : 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 시신매장 등
- 도구 : 간석기 = 돌삽 돌괭이 돌낫 돌보습 갈돌 / 흑요석기(일본산 화산암 ; 교역증거)
- 토기 : 이른민무늬토기(최초) 덧무늬토기 눌러찍기무늬토기 빗살무늬토기(후기)
- 주거 : 움집(원형, 모서리가 둥근 방형) -> 화덕이 중앙에 위치
- 사회 : 혈연 씨족 중심의 부족 사회(족외혼), 평등사회, 원시적수공업 (가락바퀴, 뼈바늘)
- 유적지 : 평양남경, 황해도봉산지탑리 : 탄화된 좁쌀 -> 농경사회시작증거 / 김해수가리 / 서울암사동 / 강원양양 / 부산동삼동 등 바닷가 근처
<청동기>
- B.C. 2000년~
- 경제 : 벼농사 시작 (본적격 농경 = 잉여 생산물 발생)
- 밭농사 중심 (보리 콩)
- 도구 : 간석기 = 반달돌칼(벼농사 증거) / 간돌검
- 청동 전문가 있음 = 비파형동검 (무기, 의식용) / 거친무늬거울(장신구)
- 토기 : 덧띠새김무늬토기(초기) 민무늬토키 미송리식토키 부여송국리식토기 붉은간토기
- 주거 : 움집(직사각형, 지상화) -> 화덕이 한쪽 벽으로 옮겨짐
- 사회 : 사유재산발생 -> 계급발생 = 고인돌 / 선민사상
- 고인돌 돌널무덤 돌무지무덤
- 부계중심사회
- 바위그림 : 울주대곡리반구대바위그림 / 울주천전리바위그림 / 고령양전동 동심원 바위그림
<철기>
- B.C. 400년~
- 도구 : 청동기 = 세형동검 (의식용) / 잔무늬거울 / 거푸집 -> 독자적 청동기 문화
- 철기 : 철제농기구 철제무기-> 농업생산성 향상, 정복 활동 활발
- 토기 : 민무늬토기 덧띠토기 검은간토기
- 주거 : 지상식 주거 일반화 / 부뚜막 (온돌사용) = 하남미사리 / 통나무 귀틀집
- 중국과 교역 활발 : 중국화폐출토 / 붓(경남창원다호리) -> 한자 사용 즉, 선사시대가 더 이상 아니다
- 무덤 : 널무덤 독무덤
728x90
반응형